청평사 고려선원
973년(고려 광종24)에 백암선원으로 창건되어 1000년 이상을 이어 온
선원이다. 고려시대에는 이자현, 원진국사 승형, 문하시중 이암
나응왕사 등이, 조선시대에는 김시습, 보우, 환적당, 환성당 등이
이 곳에 머물렀다.
-안내문에서 발췌-
청평사지
고려 광종 24년(973)에 당나라 승려인 영현선사가 이곳에 절을 세우고
백암선원이라고 하였다. 이곳은 얼마 뒤 문을 닫았는데 문종 22년
(1068)에 이 지역에서 벼슬을 살던 이의가 절을 고치고 새로 열면서
이름을 보현원이라고 바꾸었다. 선종 6년(1089)에는 이의의 아들인
이자현이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 은거하면서 많은 건물을 새로 짓고
이름을 문수원이라고 하였다. 이후 조선 명종 때 승려 보우선사가
절을 고쳐 지으면서 이름을 청평사로 바꾼 것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국보로 지정되었던 극락전 건물과 고려 최고의 명필가인 탄연이 쓴
문수원기비가 전해 내려왔는데 한국 전쟁으로 인해 소실되었다. 이들은
1975년과 2008년에 각각 복원되었다.
-안내문에서 발췌-
오봉산 계곡을 올라 드디어 도착한~
청평사 회전문
보물 제164호
청평사의 대문으로 조선 명종 5년(1550)에 보우대사가 건립했다고
알려져 있다. 가운데 칸을 출입문으로 하고 양쪽 한 칸씩은 사천왕의
조각상을 세우거나 사천왕 그림을 걸도록 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중생들이 윤회전생을 깨우치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불교의 경전을
두었던 윤장대를 돌린다는 의미에서 그 이름이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문을 지나자 공주에게 붙어있던 상사뱀이 윤회를 벗어나 해탈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안내문에서 발췌-
부탁해서 내려왔다는 전설과는 또 다른~ 아무래도 이쪽이 맞겠죠. ㅎㅎ
윤장대 등은 없지만 시원하니 뚫려 있다보니 독특합니다. 바로 건물들이
붙어있는 구조다보니 괜찮네요.
문수사시장경비
고려 말 원나라에서 청평사에 보내온 대장경과 사찰 후원금에 대한
내용을 기록한 비석이다. 이는 당시 고려와 원나라 사이의 국제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고려 말 대학자인 익제 이제현이 비문을 짓고 당대 최고의 명필인
문하시중 행촌 이암이 비문을 썼으나 1800년대에 비석이 훼손되어
현재는 비석을 세울 때 받침돌로 썼던 비좌만 남아 있으며 비문은
탁본으로 전해진다.
-안내문에서 발췌-
안타까운 ㅜㅜ
이제 안으로 들어서며~
경운루로 불리었으나 희안하게 청평사지 지도에는 강선루로 표기된 누각
현판을 바꾼 것도 아니고 특이하네요.
경운루 아래에서 바라 본 대웅전
경운루는 직접 들어갈 수 있는데 안에서 보는 경치가 액자처럼 괜찮네요.
좁은 선원이고 바로 회전문이 있기 때문에 탁 트이진 않지만 ㅎㅎ
나한전의 나한들도 다양하니~
대웅전 안의 불상들도 살짝~
관음전 불상
극락보전
극락보전 불상
내려다 보며~ 밑에서 찾던 공주탕이 극락보전 뒤로 더 올라가면 있었는데
시간때문에 모르고 내려와버린 ㅜㅜ
경운루를 바라보며
소양호 유람선을 타고 다시~
거북선도 있지만 운행하는 배는 몇대 없는게 웬지 모르게 쓸쓸했던.....
'여행 > 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천] 카페 감자밭의 야외 정원과 소양강 (0) | 2020.12.25 |
---|---|
[춘천] 일몰의 소양강처녀 (0) | 2020.12.24 |
[춘천] 청평사 가는 오봉산 계곡 산책 - 2 (0) | 2020.12.21 |
[춘천] 청평사 가는 오봉산 계곡 산책 - 1 (0) | 2020.12.18 |
[춘천] 소양호 유람선타고 출발~ (0) | 2020.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