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처음엔 soso 하다는 평이 많았는데 역주행하면서 시간이 생겨 한번 볼까~ 하고 관람한 엘리멘탈입니다. 사실 인사이드 아웃이 연상되기도 해서 더 망설인 작품인데 아예 이민자 이야기가 주인 게 확고해서 괜찮았네요. 친척 중에 그런 분도 계시고 아무래도 한국계 감독이 만들었다 보니 아시아인으로서의 특징도 잘 집어넣어 마음에 듭니다.

원소의 특성도 생각보다 잘 살렸고 주인공들의 케미가 워낙 좋아서 재밌었네요. 전체관람가이지만 어른이어도 좋을 것 같은~

3.5 / 5

영화관 장면에선ㅋㅋㅋㅋ 사실 관람 반응으로 따지면 반대인데 ㅎㅎ

이하부터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민 1세대로서의 부모와 2세대의 스토리는 이제 너무 많이 다뤄지긴 했지만 그래도 아시아인으로서는 아직 많은 편은 아니라 괜찮았고 절하는 건 진짜 ㅠㅠ 생각보다 눈물 나는 지점이 많던~

사실 2세대까지야 직접 1세대와 같이 살아왔기 때문에 그래도 영향권에 있는데 한국어를 잘하면 100불 주겠다고 해도 안 하려는 고두심과 손자의 일화를 보면 이젠 2세대와 이후 세대의 갈등이 나와야 할 차례일 것 같네요.

아주 직접적이진 않지만 인종, 원소 간의 갈등도 라이트 하게 다뤄 괜찮았습니다. 물론 1세대 이주민인 물이 백인을 대표하지만 인디언에 대한 것은 그들이 이주했다는 것으로 퉁쳤기 때문에 불만일 수는 있겠네요. 하지만 가상의 이야기니~

물(마무두 아티)과 불(레아 루이스)의 사랑이 결국 접촉을 불러일으키는데 어떻게 해결하려나 했더니 라이덴프로스트 비슷한 방식으로 넘어가는겤ㅋㅋㅋㅋㅋ 물론 오히려 순간적인 접촉에선 불이 꺼지는데 지속적인 접촉에서 가능한 게 반대지만 원소의 화신들이니 허용될만하지 않나 싶습니다.

물은 증발돼도 모이기만 하면 안 죽는다니 거의 불사신급인 듯ㅋㅋㅋㅋ 나중에 나이 들어 인력을 유지 못하는 자연사만 가능한가 싶네요.

불같은 인생의 디쇽이라지만 현재의 동아시아 나라들의 출산율 등을 보면 사랑도 서양한테는 안되는 느낌도 듭니다. 극 중에서도 불인 엠버는 사랑의 냄새를 풍기지 않고 일에만 집중하는 캐릭터라 실제 상황과도 어느 정도 어울렸네요.

그래도 나름 장모(?)의 사위 사랑이나 매운 음식 먹이기, 부모 만나기 등 넣을만한 이벤트는 다 넣어 재밌던~ 매운 음식을 물 넣어 한강으로 만들어 먹는 건 진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공기와 흙은 좀 비중이 적긴 했지만 사랑과 진로에 집중한 게 괜찮았네요. 아시안과 백인의 특성을 아시안의 편향된 눈으로 이렇게 그려낸 게 스테레오적이긴 하지만 아예 과장해서 또 재밌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편견에는 이유가 있고 또 그걸 서로가 인정하고 나누어야 시각이 달라질 수 있다는 걸 보여줘 전체적으로 따스하니 좋았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앵가

캬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