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바뀌는 상황은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의 스릴러 버전이 되려나 싶었는데 갈등과 연대, 공동체로 진화하는 느낌이라 역사와 함께 좋게 다가왔네요.
밀레나 스밋과 페넬로페 크루즈 모두 각자의 캐릭터다운 매력이 뿜뿜~
어머니 역의 아이타나 산체스 지욘 아나의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가족보다는 자신의 가치에 우선을 두는 현대인들을 그려냈는데 갈등보다는 그렇구나 하는 인정하는 분위기로 계속 넘어가기 때문에 그 당시의 감정은 있지만 역사가 흘러가는 것 같이 결국 다시 가족이라는 관계가 회복도 되고 하는 느낌으로 좋았습니다.
엘레나 역의 로시 드 팔마 미혼같은 느낌으로 야니스(페넬로페 크루즈)를 좋아한다는 늬앙스도~
고향 공동체의 살아남은 여성들도 참 좋았고 설명은 여성 연대를 강조했지만 오히려 영화에선 스페인 내전으로 희생당한 남성들을 살아남은 여성들이 기억하고 뿌리를 찾아가는 내용이 깔려있어 상당히 마음에 들었습니다.
살아남은 이들도 물론 중요하지만 죽음이나 희생의 가치가 바닥에 떨어진 듯한 느낌이라 해체되어가는 현대인들이 뿌리를 찾아서 예전처럼은 아니더라도 성긴 관계를 이어가는게 좋았네요. 딸랑이 등이 나올 때 참 ㅠㅠ
아르투로 역의 이스라엘 엘레잘드 그래서 그런지 네이버 영화에선 주조연이라 볼 수 있는 아르투로를 아예 빼버렸습니다. 무슨 반전 캐릭터라 그런건 이해라도 가는데 여성 서사를 홍보하려는 느낌이라...
야니스가 주체적인 여성에 바이로 볼 수도 있겠지만 결국은 아르투로를 다시 선택한 느낌이라 그런건지 영 입맛이 쌉싸름해졌네요.
그리고다시 한번여성은 자신의 아이를 스스로(?) 낳을 수 있다는 것이 참 부러워지는 작품이었네요. 아르투로가 그래도 아내의 병이 다 낫고 외도를 이야기한 선택도 결국 진실은 밝혀진다는 역사적 맥락과 맞닿아 있다고 봅니다. 결과적으론 그래서 다시 야니스와 이어가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