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뭔가 꼬물거려서 보니~

 




많이들 있던~

 

 



4-5 마리는 되는 듯~

 




츄르 주냥~

 




없냥~~

 

 

반응형

'동물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로와 소나무  (0) 2023.03.04
레슬링냥즈  (0) 2023.01.26
라이트냥  (0) 2023.01.05
어기적냥  (0) 2022.12.24
물 마시는 턱시도냥  (0) 2022.12.13
블로그 이미지

앵가

캬륵!!!

,
반응형



베를린국제영화제 황금곰상 수상작으로 카를라 시몬 감독의 영화는
처음 보게 되었네요. 제작이나 촬영 등 여성의 참여가 많고 86년생으로
젊은 감독의 유년 시절 시선으로 바라본 알카라스를 그리고 있어
사건들에도 불구하고 뭔가 아기자기하고 유려하니 흘러갑니다.

3/5

소품같은 작품이라 호불호가 있을 듯~
이하부터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명하거나 경력 배우들을 안쓰고 지역에서 오디션으로 뽑아서 그런지
날것스러우면서도 과함이 없게 연출해서 작풍에 잘 묻어가는 느낌이
좋기는 하지만 지역 소품적인 스토리로서 모큐멘터리 같이 다가옵니다.

 




복숭아 농장을 하고 있지만 태양열 발전이 돈이 되면서 소작을 해오던
주인공 가족은 농사를 접게 되는게 큰 사건입니다. 전 지주를 살려주며
받은 땅이라 소유를 주장하려 하지만 집과 달리 땅은 계약서를 남기지
않아 여름 수확이 끝나면 넘겨줄 수 밖에 없게 되는데 현재 지주도
나쁜 아들은 아니라 발전소 관리를 하게 되면 돈도 더 벌고 일도 적어져
좋아질거란 전망을 내놓습니다.

평생 직장의 의미가 사라진 시대에서 보면 값도 제대로 쳐주지 않아서
시위를 할 정도의 농사를 고집해야 하는가 싶기도 하고 자식들도
하물며 동생까지도 땅을 팔 정도라 갈등이 이해는 가지만...

 




다만 그렇게 흘러가기만 하는게 아니라 전통을 빗대서 세월이 지나면
어차피 변하게 된다는 것도 보여주는게 괜찮았네요. 엄마의 손맛을
고모들이 지키려 하지만 블랜더부터 막히다보닠ㅋㅋㅋ

같은 과일이나 채소도 시대에 따라 영양분이 떨어지기도 하니
무언가를 지킨다는게 의미 그대로 고수해야만 하는가에 대한
생각도 들었네요. 어렸을 때 농사를 짓는 시골에서 살았기에 또 각별한 듯~

 




마리화나도 키우는 등 다들 엇나가고 싸우다 마지막에는 결국에 모두
모여서 복숭아 통조림을 만드는데 배경으론 과수원이 매몰되어가는게
나오면서 정리되는게 착잡했네요.

그럼에도 힘들어하는 아버지에 대한 모습이 많이 나왔던지라 오히려
가족에겐 해피엔딩이 아니지 않을까 싶어지기도 하는 마무리였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앵가

캬륵!!!

,
반응형



양자경과 멀티버스만 알고 보러간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입니다.
호평 속에 기대하고 봤는데도 정말... 좋았네요. 예상과 달리 가족 코미디
드라마에 가깝기에 호불호는 있겠지만 코드만 맞으면 강추할만한~

멀티버스 소재가 익숙하다면 왕도적으로 뽑아냈다고 볼만한데
그만큼 감동도 계속 배가 되기 때문에 가볍게 휴지를 지참하는 것도 ㅎㅎ

4.5/5

돌이 되고 싶을 때에 본 영화라 더 눈물 흘릴 수 있었던 작품이네요.
이하부터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미국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는 왕가족의 이야기인데 세무조사와 아버지의
방문, 딸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중첩되는 시기를 멀티버스를 통해 소화해
흥미로우면서도 재밌게 그렸습니다.

특히 다른 유니버스의 특기를 다운받아 쓰는데 일탈을 통하는건ㅋㅋㅋㅋ

 

 



다만 한 유니버스에서 모든 미래를 내다보고 중첩시키는 실험을 딸에게
진행시키다보니 오히려 허무주의에 빠져 다 내려놓고 싶어지게 됩니다.

그러면서 베이글 블랙홀(?)을 만들게 되는데 유니버스 붕괴를 막기 위해
우리 우주의 무쓸모한 양자경이 뛰어든다는 시놉인데 어디서 많이~
봐왔을 설정들이 많이 쓰여 너무 B급으로 소화하긴 했지만 부담없이
볼 수 있었네요. ㅎㅎ

현대 젊은이들의 정보 과잉과 어두운 미래가 겹쳐지며 희망을 잃어버리는
세태를 잘 그려낸 듯하여 더 마음에 들었습니다. 특히 양자경부터가
막혀있는 것이 아니라 할아버지(제임스 홍)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레즈비언인걸 받아들인다고 하면서도 여친(탈리 메델)을 가족같이는
대하지 않는다던가, 커밍아웃하게 되는 것에 또 폭발하는 딸(스테파니 수)의
고민을 잘 보여주고 있네요.

 




게다가 아버지(키 호이 콴)은 통제적이지만 가정을 꾸려나가는 어머니와
달리 친절하지만 무능력한 캐릭터로 나오는데 요원 상태에선 강력하게
변합니다. 하지만 그의 최고 강점은 친절과 다정함으로 그냥 보여주는게
아니라 그의 입에서 직접 무기로서 언급되는게 제일 마음에 들었네요.

그렇게 생각해서 하기도 하지만 천성이기에 그걸 무기로 삼을 수 밖에 없는
인성의 캐릭터로서 감정이입도 많이 되고 양자경과 다른 경지의 마스터로서
참 좋았습니다. ㅎㅎ

 




라따뚜이가 아닌 라쿤이 올라간 라카쿠니도 미쳤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해리 슘 주니어도 잘 어울리고~

 

 



스테파니 수의 멀티버스 액션은 진짜 미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무 빵빵 터지는게 양키센스 도랐ㅋㅋㅋㅋㅋ 엄마와의 일전도 글코
최고최곸ㅋㅋㅋㅋㅋㅋㅋㅋ

 




돌이 된 상태에서도 따라 떨어지는거나 정말 가족으로서 보여줄 수 있는
또 다른 경지를 보여줘서 너무 눈물이 나는게 참 좋았네요. 설마 에에올이
손수건이 필요한 영화인지는 몰랐는데 결국엔 가방에서 꺼낼 수 밖에
없을 정도였습니다. ㅠㅠ

 




하지만 이런 영화가 나올 수록 다음 가족을 꾸리기 힘든 현세대는 더 ㅜㅜ
물론 그러다보니 장려하는 느낌도 있긴 하지만 작정한다고 되는게 아니니~
그럼에도 결국엔 가족에게서 힘을 주고 받는게 참 좋았네요.

영화의 베이글처럼 자살세포 같다 생각되는 인생이니 다음 생에는~~

 




키 호이 콴은 필모가 한 20년 없길레 찾아봤는데 구니스에서 나왔었네요.
모험물로서 이 영화와도 일맥상통하는 느낌도 있습니다. ㅎㅎ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앵가

캬륵!!!

,
반응형




휴양지의 부유한 영국인 가족이 어머니의 사망 소식에 돌아가게 되는데
그와중에 벌어지는 주인공 닐(팀 로스)의 일탈을 그리고 있는 작품으로
미셸 프랑코 감독의 영화입니다.

사실 그리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끝까지 밀어 붙이는 방식도 좋았고
어려서부터 죽음에 대해 생각해왔던지라 생각보다 마음에 들었습니다.

하지만 긴장감있게 풀어내서 몰아치는 와중에 꽤 진중하기 때문에
쉽게 추천할만한 작품은 아니네요. 그리고 아쉬운 점도 있고~ ㅎㅎ

4/5
이하부터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닐은 사실 처음부터 친근한 삼촌이지만 계속 자신을 격리하고 싶어하는
인물로 나옵니다. 물론 조카들에겐 그래도 좀 더 자상한 편이고
그런 닐을 여동생 앨리스(샤를로트 갱스부르)도 어느정도는 아는 눈치라
고마움을 표시하기도 합니다.

 

 



그런 휴가 와중에 갑작스럽게 어머니가 돌아가시면서 모두 돌아가는데
닐은 여권을 핑계로 남더니 멕시코의 아카풀코에서 전과는 전혀 다른,
누구도 자신을 알아보지 못하고 자신도 남에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
현지인들만이 대부분인 해변으로 가서 널부러지기 시작합니다.

 




Iazua Larios와 얽히는 것도 딱히 의도하지 않았고 사귀고 나서도
자신의 미래와는 상관없는, 친구에게 대하듯이 말하는 지점에선
혹시...싶었네요. 게다가 마지막에선 그녀마저도 떠났으니...

자신의 상황을 이해받고 싶다는 욕구마저 스러지고 있는 닐이다보니
정말 최후의 순간, 아무도 없었고 아무도 남지 않은, 오롯이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는 곳으로 떠나는게 나름 이해가 가기도 했습니다.

영화 전의 인생은 모르겠지만 어머니와 그나마 연락을 강제한 여동생이
없는 현재, 그에게 정말 연결된 끈은 없는거나 마찬가지일테니...
인간에게 가족의 존재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기도 했네요.

어머니가 살아있을 때는 자신의 죽음 앞에서 그래도 시간을 내어
여동생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기도 했지만 어머니의 죽음 이후
사회적 관계가 청산되다시피 무너지는 그였고, 여동생이 죽자
울음을 터뜨리며 진짜 세상과 단절되는 모습이 정말 너무나도
안타깝고 슬프면서도 미래를 보는게 아닐까 싶어 진짜 무서웠습니다.

 




할머니의 죽음에 대해서는 사실 아무래도 약간 멀게 느꼈던 조카들이지만
이해할 수 없는 행동에다 자신들의 어머니가 삼촌때문에 비명횡사하자
Samuel Bottomley와 Albertine Kotting McMillan가 찾아와 병으로 뚝배기를
깨버리는게 정말 관객의 마음을 시원하게 만들어줘서 좋았네요.

하지만 그의 재벌 가족이 쌓아온 면모 뒤에 도축업이 있다는게 나오면서
죽은 돼지들의 환영이 보이는건 좀... 별로였네요;; 사족같달까...

나름 그런 충격으로 그가 이런 성격이 되었다는건 설명해줄 수 있을지
모르지만 채식주의자(?)의 목소리가 직접 나오는 듯한 느낌에 가까워서
굳이... 그의 입장이 끝까지 그의 입에서 나오지 않는 것처럼
환영도 마찬가지로 직접적으로 나오지 않고 표현하는게 낫지 않았을지...

그런 의도가 아니었을테지만 그렇게 다가올 정도로 살짝 식었네요. ㅎㅎ

 




결국 다시 또 혼자 떠난 그의 공간은 이번에야말로 오롯이 스러질 장소를
마련해 줄 수 있을지... 느리고 느리게 침잠하는 자살같은 느낌도 들고
착잡하지만 다시 한번 죽음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어준 작품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앵가

캬륵!!!

,
반응형




부인은 그림을 그리고 남편은 시를 쓰니 이 어찌 천생연분이 아닐지~
가족 다큐멘터리지만 큰 굴곡없이 잔잔하게 그려내고 있어 참 좋았네요.

옛날 비디오나 남겨진 편지들로 구성한 내용들이 부부 인생의 단편들을
보여주며 이토록 보통이지만 판타지같은 보통이란 이런게 아닌가
싶어지는 영화였습니다. 게다가 자식은 커서 영상으로 이렇게 남겼으니
정말 예술가 가족이네요.

오직 부러울 뿐이니 행복하시기를~
이하부터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화전을 열게 되는걸 메인 테마로 잡고 그려냈는데 어디에나 쓰는
아버지의 글귀들이 참 좋았네요. 문화센터에서 이것저것 배우시는
어머니의 열정도 좋았고 연애시절부터 잔잔하니 그려오던게 쌓이는게
고단한 시절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그들의 천성을 바꾸지는 못 하였으니
이렇게 또 하나의 결실을 보여주는 모습을 담아내 인상적이었네요.

 




특히 아버지의 끼는 정말 미쳤ㅋㅋㅋ
오래전 부모님이 옛날 서류들을 정리하며 연애편지 등도 다 태우셨는데
이렇게 보니 또 다시 아깝게 느껴지기도 하네요. 이제는 디지털 시대라
한자 한자 써내려가는 감성이 어떨지 모르겠지만 나름 그래도 편지를
써오던 세대라 그렇게 연출한 장면 장면들이 참 좋았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앵가

캬륵!!!

,
반응형